GPM(Gross Profit Margin, 매출총이익률)은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얻은 매출액에서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직접적으로 사용된 비용(매출원가)을 뺀 나머지 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이다. GPM은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며, GPM 개선은 기업의 재무 구조 개선에 필수적인 요소이다.
GPM의 중요성
- 수익성 평가: GPM은 기업의 핵심 사업 부문의 수익성을 보여준다. 높은 GPM은 기업이 제품 생산이나 서비스 제공에 드는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.
- 제품/서비스의 수익성 비교: 각 제품이나 서비스별 GPM을 비교하여 수익성이 높은 품목을 파악하고, 마케팅 전략이나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.
- 경쟁력 분석: 동종 업계의 다른 기업들과 GPM을 비교하여 자사의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다.
GP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
P,Q,C
Price 판매가격
Quantity 판매수량
Cost 비용
- 매출원가: 매출원가가 감소하면 GPM이 상승한다 (원자재 가격 하락, 생산 효율성 증가 등).
- 판매가격: 판매가격이 상승하면 GPM이 상승한다.
- 제품 믹스: 고마진 제품의 판매 비중이 높아지면 GPM이 상승한다.
GPM 개선 전략
- 비용 관리 및 효율성 증대:
- 가격 전략 최적화:
- 제품 믹스 및 포트폴리오 관리:
- 재고 관리 최적화:
- 공급업체 및 고객과의 관계 개선:
- 기술 및 자동화 도입:
-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벤치마킹:
유의사항
- GPM 분석 시 산업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.
- GPM뿐만 아니라 OPM(영업이익률), 순이익률 등 다른 재무 지표와 함께 분석해야 기업의 재무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.
- GPM은 단기적으로 변동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.
- GPM을 무리하게 올리려다가 오히려 재무건전성을 해치거나 새로운 재무리스크를 불러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.
* 주요 확인 재무재표
지표 | 설명 |
GPM (매출총이익률) |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한 매출총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 |
OPM (영업이익률) | 매출액에서 매출원가, 판매비와 관리비 등 제반 비용을 제외한 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 |
순이익률 | 기업의 순수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값 (모든 비용과 세금을 제외한 이익) |
자산 회전율 | 매출액을 총 자산으로 나눈 값 (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매출을 생성하는지) |
부채비율 | 총 부채를 총 자산으로 나눈 값 (기업의 재무 리스크 수준 및 장기적인 안정성 평가) |
유동비율 |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값 (당기 내에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 판단) |
ROE (Return on Equity) | 주주자본 대비 순이익률 (주주가 회사에서 얻은 수익률) |
ROA (Return on Assets) | 전체 자본 대비 순이익률 (전체 투자자가 회사에서 얻은 수익률) |
EPS (Earnings Per Share) | 주당 순이익 |
PER (Price Earningns Ratio) | 주가 대비 주당 순이익 배수 |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RT 활용 및 기업분석 (0) | 2025.03.04 |
---|---|
월급 빼고 年2000만원 더 벌면 의료보험료 추가 부과 (1) | 2025.02.27 |